아래 기사 하나를 리뷰한다. 전부는 아니고, 읽어보고 인사이트가 있다고 생각되는 내용만 요약정리한다.
Handel Jones는 International Business Strategies 의 CEO이고, 인터뷰를 했는데... 사실 얼마나 유명한 사람인지 잘 모르겠고, Semiengineering.com의 안목을 믿고 읽어본다.
다 읽고 다시 돌아와서 Summary를 쓰는데, 믿을 수 없는 인터뷰의 내용이다. 인터뷰어가 잘 정리를 하던지, 동문서답을 하면 다시 물어보던 지 했어야 하는 것 아닌가 싶다. 장난하는 것도 아니고, 질문에 완전 딴소리를 하는데 이걸 그대로 옮겨놓은 SE도 놀라운 사람인 것 같다. 이런 기사를 읽고 정리를 했다니 시간과 데이터 낭비인 듯. 그래도 다음에 거르기 위해서 기록은 남겨 놓는다. Semiengineering.com 온전히 믿을게 못되는 구만.
The growth and impact of AI, how it fits into chip design and why China is so far ahead.
https://semiengineering.com/10-questions-handel-jones/?cmid=af269441-e9cd-4dcc-8141-e3547bf12beb
10 Questions: Handel Jones
The growth and impact of AI, how it fits into chip design, and why China is so far ahead.
semiengineering.com
SE: AI향 반도체는 모두 디지털일까? 아니면 아날로그와 섞일까?
Jones: analog도 쓰이겠지만 향후 몇년간은 digital로 부족함이 없을 것.
SE: 얼만큼의 알고리즘 정확도가 필요한 지 어떻게 결정하나?
J: ... 먼 동문서답을, 중국이 3D 얼굴인식을 잘한다.
SE: AI Architecture가 지금은 비효율적인데, 변화하는 것이 보이나?
J: Transformer는 AI의 큰 전환점이다. 칩의 아키텍처를 근본적으로 바꿀 수 있기 때문이다. NVIDIA Hopper, Google's intelligent pnr 기술, Cadenc's cerebrus technology 를 지켜봐왔고, 그 변화는 대단하다고 생각한다.
SE: AI를 활용한 몇몇 재미있는 조각들이 있지만, 실제 AI의 진화는 기대보다는 느린 것 같다. 당신이 AI를 이용해서 반도체를 설계하고 생상하는 것을 기대한다면 AI는 이제 막 익숙해지는 단계인것 같다.
J: AI와 Cloud에서의 반도체 설계는 EDA Vendor들의 수익흐름을 급격하게 바꿀 것이다. 설계와 공정을 잇는 library와 mask database에서도 변화가 예상된다. 또한, AI는 Functional 검증과 근본적으로 맞는다. 우리는 향후 3-5년 내 AI가 동작검증에 주된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본다. 이러한 요소들은 디자이너들을 더 생산적으로 만들 것이고, 세계적으로 디자이너 엔지니어 부족 현상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SE: 반도체 세계에서 AI가 적용된 곳을 볼 수 있나?
J: ... 또 동문서답, 4-5nm에서 작업한 것의 80%만 3nm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그게 아닐 경우에는 이를 3nm에서 re-qualify하는 데는 굉장히 오래걸린다.
SE: Chiplet이 좋다고 보는 것인가?
J: Yes, AMD가 CPU를 4blocks, 8blocks으로 나눈 것은 매우 잘한 것이었다. Apple도 이제 막 적용하는 중이다. 대량생산을 하고, Chip크기가 200mm2가 넘으면 Chiplet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DARPA같이 다품종소량샌산에는 이것은 쉽지 않다.
SE: Chiplet을 적용하는 것에 대한 견해는?
J: Chiplet의 가치는 최신 노드에서 빛을 발할 것이다. 또한, chiplet의 경우 긴 interconnect 미세화의 어려움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2nm의 경우 transistor scaling은 잘 되지만, middle-of-line,이나 back-end-of-line은 잘 안되는 이슈가 있는데 이를 chiplet을 통해서 해결 할 수 있다. 그러나 큰 노드, 28nm에서는 별로 큰 효과가 없다. 오히려 귀찮기만..
SE: (아까의 동문서답에서 답답했는지, 다시 물어본다.) 그래서 여기에 다룰 데이터들이 많을 것 같은데, AI가 도움이 될까?
J: 데이터는 굉장히 많고, 이는 AI로 처리를 할 것이다. 중국은 2백만개의 5G 기지국이 있고 중국에 있는 모든 사람은 데이터베이스화 되어있다. 중국은 2035년에 자율주행자동차를 의무화 했다. (또 동문서답?)
SE: 그래서, AI가 세계를 지배하면 우리한테 좋은 것인가?
J : 좋은 것도 있고 나쁜 것도 있는데, 전체적으로 사회는 진보할 것이다. 공장자동화와 군사적인 것으로 인해서 중국은 더 부강해질 것이고, 중국이 이차전지 재료인 silicon carbide를 얻을 수 있어서 전기차 수출을 잘 할 것이고, ... (질문에 대한 답은 안하고, 그냥 중국이 앞으로 성장할 것이다..라는 이야기를 한다 마지막 QnA였는데 당황스럽네.)